편집 자주리더의 가장 큰 고민은 사람이다. 한 사람 때문에 조직 전체가 위험해질 수도 있고, 한 사람 때문에 조직 전체가 성장할 수도 있다. 업무를 적당히 나누고, 각 포지션에 맞는 인재를 뽑고, 동기부여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등 리더의 업무는 대부분 ‘사람’과 관련된 것이다. <사람을 움직이는 1%의 차이>는 사람 중심의 리더십, 즉 인재를 알아보고 그들과 함께 일하며 성장하는 방법에 관한 책이다. 세대 간 갈등과 내부 갈등 해결, 적절한 보상제도 설립 등 리더로서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MZ세대는 공정이라는 가치를 앞세운다. 그렇다면 기성세대는 공정을 싫어하는가? 그렇지 않다. 예순이 넘은 지금도 공정하지 않으면 속이 부글부글 끓는다. 하지만 조직 내 공정성이 무너진 사태가 발생했을 때 보이는 2세대의 반응에는 극명한 차이가 있다.
기성세대 때는 인내가 미덕이라며 참고 조용히 있거나 노조로 달려가거나 혹은 “절이 싫으면 스님이 떠나야 한다”며 사직서에 사직 이유는 ‘개인 사정’이라고 적고 조용히 회사를 떠나는 수동적 반응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금도 이 세대는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기 어렵고 낯설어하고 있다.
그러나 MZ세대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개인의 가치와 조직의 가치가 충돌하거나 불공정 사례가 발생하면 바로 표현하고, 이것이 관철되지 않으면 조직화해 경영 참여를 시도하고, 그것도 안 되면 익명 사이트에 가서 게시물이라도 올리면 속이 뻥 뚫리는 ‘적극적 표현’의 세대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기지? MZ세대는 옵션이 많다. 회사 내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 같은 법적인 제도와 ESG 등 각종 지표가 보호하고 직장을 나가면 많은 취업 기회가 있다. 실업보험, 재취업 지원 등 사회안전망도 촘촘히 깔려 있다. 블라인드처럼 익명으로 떠들 수 있는 곳도 있다.
북유럽 직장인들은 출근하면 반드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해야 한다는 칼럼을 읽은 적이 있다. 의견을 표출하지 않으면 “왜 힘들게 회사에 출근하느냐?”고 묻는 게 이들의 조직문화다. 리더십의 학장으로 불리는 워런 베니스도 리더십은 완전한 자기표현의 총합이라고 말했다. MZ세대가 기성세대를 넘어 자기 자신과 조직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
MZ세대의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실행하는 모습’이 기성세대에 영향을 주고 있다. 잘됐다. 표현하지 못하고 뒤에서 툴툴대며 뒷담화만 하던 기성세대가 오히려 역코칭을 받으며 ‘저래도 되는구나’를 배우고 있다. 조직은 그렇게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순전히 MZ세대의 공헌이다.